정보처리기사/Ⅲ. 데이터 입출력 구현3 Chapter 03. 데이터베이스 기초 활용하기 1. 데이터베이스 종류 데이터베이스 개념 - 다수의 인원, 시스템 또는 프로그램이 사용할 목적으로 통합하여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 빅데이터 개념 - 시스템, 서비스, 조직(회사) 등에서 주어진 비용, 시간 내에 처리 가능한 데이터 범위를 넘어서는 수십 페타바이트(PB) 크기의 비졍형 데이터 데이터 마이닝 개념 - 대규모로 저장된 데이터 안에서 체계적이고 자동적으로 통계적 규칙이나 패턴을 찾아내는 기술 NoSQL의 유형(키컬도그) Key-Value Store Column Family Data Store Document Store Graph 2022. 4. 6. Chapter 02. 물리 데이터 저장소 설계 1. 물리 데이터 모델 설계 물리 데이터 모델링 개념 - 논리모델을 적용하고자 하는 기술에 맞도록 상세화해 가는 과정 물리 데이터 모델링 변환 절차 개체를 테이블로 변환 속성을 컬럼으로 변환 UID를 기본키로 변환 관계를 외래키로 변환 컬럼 유형과 길이 정의 반정규화 실행 2. 물리 데이터 저장소 구성 참조무결성 제약조건 - 릴레이션과 릴레이션 사이에 대해 참조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건 인덱스(Index) 개념 - 검색 연산의 최적화를 위해 데이터베이스 내 열에 대한 정보를 구성한 데이터구조 인덱스 적용 기준 - 인덱스의 적정한 분포도는 10~15% 파티셔닝 유형(레해리컴라) 레인지 파티셔닝(Range Partitioning) 해시 파티셔닝(Hash Partitioning) 리스트 파티셔닝(List.. 2022. 4. 6. Chapter 01. 논리 데이터 저장소 확인 1. 데이터 모델 데이터 모델 개념 현실 세계의 정보를 인간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추상화하여 표현한 모델 데이터 모델에 표시해야 할 요소에는 구조, 연산, 제약조건이 있음 데이터 모델 절차(요개논물) 요구조건 분석 - 개념적 설계 - 논리적 설계 - 물리적 설계 2. 논리 데이터 모델 검증 관계 데이터 모델 개념 - 실세계 데이터를 행과 열로 구성된 테이블 형태로 구성한 데이터 모델 관계 데이터 모델의 구성 관계 대수의 개념 - 관계현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정보와 그 정보를 어떻게 유도하는가를 기술하고, 관계로 표현된 데이터를 취급하는 대수적인 연산 체계이자 절차적 정형 언어 일반 집합 연산자(합교차카) 합집합(UNION) 교집합(INTERSECT) 차집합(DIFFERENCE) 카티션 프로덕트(.. 2022. 4. 6. 이전 1 다음